글렌토런 F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렌토런 FC는 1882년 할랜드 앤 울프 조선소 노동자들에 의해 창단된 북아일랜드의 축구 클럽이다. 23번의 리그 우승과 22번의 아이리시 컵 우승을 기록하며, 같은 벨파스트 연고의 린필드 FC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1914년 비엔나 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1960년대와 1970년대 유럽 클럽 대항전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 최근에는 2019년 새로운 투자를 유치하여 재정난을 극복하고 아이리시 컵 우승을 달성했으며, 유소년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어린 선수들의 축구 참여를 장려하고 있다.
글렌토런 FC는 1882년에 창설되어 1893-94 시즌 국내 리그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국내 리그 23회, 국내 컵 대회 22회 우승을 기록하며 북아일랜드의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같은 벨파스트를 연고로 하는 린필드와는 오랜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더 오벌은 현재 글렌토런 FC의 홈 구장이다. 2016년 5월 24일, 서포터들은 연례 총회에서 오벌 구장을 철거하고 현대적인 지역 사회 기반 경기장으로 재개발하라는 이사회의 권고를 승인했다.[33] 이 재개발 계획은 새로운 윈저 파크와 얼스터 럭비의 킹스팬 스타디움을 건설하고, 전국 여러 경기장에서 재개발을 추진해 온 정부의 스포츠 경기장 개선 프로그램(1억 1천만 파운드)에 따라 글렌토런이 확보한 1천만 파운드의 자금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글렌토런 FC는 버티 피콕, 대니 블랜치플라워, 빌리 빙엄(1948-1950), 로니 맥폴(1975-1979) 등 여러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최근에는 가엘 비기리마나(2020-), 조슈아 매기니스(2006-2007), 이그나시오 노보(2016-2017) 등이 글렌토런에서 뛰었다.[1]
2. 역사
2000년대 이후 글렌토런 FC의 주요 리그 및 컵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시즌 디비전 아이리시 컵 리그 순위 경기 승 무 패 득점 실점 승점 2000-01 아이리시 프리미어 디비전 3위 36 15 12 9 52 37 57 우승 2001-02 아이리시 프리미어 디비전 2위 36 21 11 4 63 23 74 8강 2002-03 아이리시 프리미어 디비전 1위 38 28 6 4 78 22 90 준우승 2003-04 아이리시 프리미어 리그 5위 30 15 5 10 48 27 50 우승 2004-05 아이리시 프리미어 리그 1위 30 24 2 4 73 22 74 준결승 2005-06 아이리시 프리미어 리그 2위 30 19 6 5 60 28 63 준우승 2006-07 아이리시 프리미어 리그 2위 30 20 3 7 76 33 63 6라운드 2007-08 아이리시 프리미어 리그 2위 30 22 5 3 69 24 71 8강 2008-09 IFA 프리미어십 1위 38 24 9 5 63 36 81 8강 2009-10 IFA 프리미어십 3위 38 19 8 11 58 46 65 8강 2010-11 IFA 프리미어십 3위 38 20 6 12 63 41 66 준결승 2011-12 IFA 프리미어십 6위 38 16 9 13 67 52 57 5라운드 2012-13 IFA 프리미어십 4위 38 15 12 11 63 44 57 우승 2013-14 NIFL 프리미어십 5위 38 16 11 11 54 42 59 8강 2014-15 NIFL 프리미어십 6위 38 16 10 12 67 51 58 우승 2015-16 NIFL 프리미어십 6위 38 15 7 16 46 55 52 6라운드 2016-17 NIFL 프리미어십 9위 38 12 10 16 45 53 46 5라운드 2017-18 NIFL 프리미어십 7위 38 14 9 15 52 52 51 8강 2018-19 NIFL 프리미어십 7위 38 13 10 15 58 53 49 5라운드 2019-20 NIFL 프리미어십 5위 31 17 7 7 60 33 58 우승 2020-21 NIFL 프리미어십 3위 38 20 11 7 65 32 71 8강 2021-22 NIFL 프리미어십 3위 38 21 8 9 68 44 71 8강
2010년대 후반, 글렌토런은 재정난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2019년 새로운 투자를 유치하고 2020년 부채를 해결하며 재정 위기에서 벗어났다.[27] 2019년 믹 맥더멋 감독 부임 이후 2020년 아이리시 컵에서 우승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28][29]
2023년 로드니 맥어리 감독을 거쳐[30], 2023년 6월부터 전 린필드 감독 워렌 피니가 팀을 이끌었으나, 팬들의 반발 속에 2024년 3월 팀을 떠났다.[30]
2. 1. 초기 역사 (1882-1914)
글렌토런은 1882년 벨파스트 동부에 위치한 할랜드 앤 울프 조선소의 개신교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창단되었다. 구단은 이 지역의 산업적 배경에서 많은 정체성을 얻었으며, 조선소의 상징적인 크레인은 구단의 홈구장인 더 오벌을 내려다보며 구단의 유산을 상징하고 있다.[1] 1889년 글렌토런 FC는 유한 회사로 설립되었고, 바이컨트 피리와 G.W. 울프 등 지역 산업 지도자들의 투자를 받았다. 이는 구단과 할랜드 앤 울프 조선소 노동자들의 유대감을 더욱 강화시켰다.[2]
1886-87 시즌, 글렌토런은 아이리쉬 컵에 처음 참가하여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얼스터 FC에 2-1로 패배했다.[3] 1890년에는 아이리쉬 리그가 창설되었고, 글렌토런 FC는 클라렌스 FC, 클리프턴빌 FC, 디스틸러리 FC, 린필드 FC, 밀포드 FC(아마), 올드파크 FC, 얼스터 FC와 함께 창립 멤버가 되었다. 밀포드 FC를 제외한 대부분의 클럽이 벨파스트를 연고로 했으며, 밀포드 FC만이 유일하게 아마를 연고로 했다. 리그 첫 시즌에 글렌토런은 8개 팀 중 5위를 기록했고,[3] 1894년에 23번의 리그 우승 중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3][4]
2. 2. 비엔나 컵 우승 (1914)
1914년, 글렌토런 FC는 최초로 유럽 투어를 진행했으며, 이 투어의 주요 하이라이트는 비엔나 컵에서의 참가 및 우승이었다. 투어는 프라하에서 도이치와의 경기에서 4-3으로 패배하며 시작되었지만, 이후 헤르타 베를린을 4-1로 이겼다. 그 후 팀은 비엔나 축구 클럽이 주최한 일주일간의 토너먼트인 비엔나 컵을 위해 비엔나로 이동했다. 비엔나 선발팀과의 첫 경기에서 글렌토런은 경기를 지배했지만 경기 막판 동점골을 허용하여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결승전에서 글렌토런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비엔나 컵에서 우승했고, 이는 그들을 유럽 트로피를 차지한 최초의 영국 팀으로 만들었다.[1]
2. 3. 1960년대
글렌토런은 1964-65 시즌 유러피언컵에서 파나티나이코스와 맞붙어 홈에서 2-2로 비기고 원정에서 3-2로 패했다. 다음 시즌 페어스컵에서는 앤트워프와 맞붙어 원정에서 1-0으로 패하고 홈에서 3-3으로 비겼다. 1966-67 시즌 컵 위너스 컵에서는 레인저스와 1-1로 비긴 후 원정에서 4-0으로 패했다.[7]
글렌토런이 유럽 무대에서 거둔 가장 훌륭한 성적은 1967년 유러피언컵에서 벤피카를 상대로 거둔 경기였다. 오벌에서 열린 1차전에서 글렌토란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에우제비우가 동점골을 넣어 1-1로 경기가 끝났다. 벤피카의 에스타디우 다 루스에서 열린 2차전에서, 글렌토란은 예상을 뒤엎고 0-0으로 비겼다. 비록 벤피카가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진출했지만, 글렌토란은 이 규칙에 의해 탈락한 첫 번째 팀이자 벤피카가 홈에서 득점하지 못하도록 막은 첫 번째 팀이 되었다.[7]
1967년, 글렌토란은 디트로이트 쿠거스 축구 프랜차이즈를 유나이티드 사커 어소시에이션에서 운영했다.[8]
조지 베스트는 어릴 적 할아버지와 함께 글렌토란 경기를 관람했지만, "너무 작고 가볍다"는 이유로 클럽에서 거절당했다. 그러나 베스트는 글렌토란의 100주년 기념 경기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상대로 한 경기에 출전했다.[9]
2. 4. 1970년대
글렌토런 FC는 1972년과 1977년에 아일랜드 리그 우승을 차지했으며, 1973년에는 아일랜드 컵에서 우승했다. 이 컵 우승으로 글렌토런은 다음 시즌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출전 자격을 얻었다. 1973년 11월, 글렌토런은 벨파스트에서 브란과의 경기에서 3-1로 승리하고, 베르겐에서 1-1로 비기면서, 아일랜드 클럽 최초로 이 대회 8강에 진출하는 역사를 만들었다.[10] 8강전에서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를 만나 0-2, 0-5로 패했다. 4시즌 뒤, 유벤투스와 유러피언 컵 경기에서 홈에서 0-1로, 원정에서 0-5로 패했다.
2. 5. 1980년대
1981-82 시즌, 글렌토런은 유러피언 컵 2라운드에 진출하여 준결승까지 진출한 CSKA 소피아를 만났다. 원정 경기에서 2-0으로 패한 후, 글렌토런은 홈 경기에서 2-0으로 앞서며 경기를 연장전으로 끌고 갔다. 최종 결과는 2-1이었고, 합산 점수 3-2로 글렌토런이 탈락했다.
1985년 아이리시 컵 결승전에서 글렌토런과 린필드의 경기는 특이한 사건으로 회자된다. 글렌토런 팬들은 클럽의 상징인 수탉과 린필드의 로열 블루 색으로 칠한 돼지를 경기장에 가져왔다. 이 동물들은 경기 내내 관중석에 있었다. 팬들은 2006년 결승전에서도 수탉 전통을 재현했지만, 글렌토런은 2-1로 패하며 1966년에 시작된 린필드와의 5연속 아이리시 컵 결승전 무패 기록을 마감했다.[1]
2. 6. 1990년대
1995년 크리스마스 다음날, 글렌토런은 눈 덮인 경기장에서 린필드와 전통적인 경기를 치렀다. 전반전에 주황색 공이 손상되었고, 교체할 공이 없어 양 팀은 남은 경기 동안 흰색 공으로 경기를 해야 했다. 이 사건은 BBC의 ''A Question of Sport''에서 "그다음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라는 질문으로 사용되었다.[12]
1997년, 전 린필드 감독 로이 코일이 글렌토런의 감독을 맡아 구단은 또 다른 성공 시대를 맞이했다. 코일은 첫 번째 컵 결승전에서 팀을 이끌 권리를 포기하고 대신 오랫동안 팀 키트맨으로 일해온 테디 호너에게 이 영광을 안겨주었다.[13]
2. 7. 2000년대
2002-03 시즌은 글렌토런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즌 중 하나였다. 글렌토런은 아일랜드 리그 챔피언십, 아일랜드 리그 컵, 카운티 안트림 실드에서 우승하며 3관왕을 차지했지만, 아일랜드 컵 결승전에서 콜레인에게 1-0으로 패하며 아쉽게도 모든 트로피를 석권하지는 못했다.[14] 모든 트로피를 석권한 유일한 아일랜드 리그 팀은 린필드로, 1921-22 시즌과 1961-62 시즌에 각각 7개 트로피, 1955-56 시즌에 4개 트로피를 획득한 기록이 있다.
2005년 4월 23일, 글렌토런은 리그 우승을 결정짓는 중요한 경기에서 라이벌 린필드를 꺾었다. 글렌토런은 경기 93분에 터진 센터 포워드 크리스 모건(전 린필드 선수)의 골로 승리했다. 경기 후 양 팀 팬들 간의 충돌이 있었는데, 과거 두 팀 간의 경기에서는 훌리건 행위가 자주 발생했다.[14]
로이 코일은 글렌토런에서 16개의 트로피를 획득하여 구단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2. 8. 재정난 (2011-2019)
로이 코일 감독이 부진한 성적으로 2006년에 사임한 후, 폴 밀러가 감독으로 부임했지만 15개월 만에 해고되었다.[16] 2007년에는 앨런 맥도널드가 감독으로 부임하여 2009년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그러나 2010년 스콧 영 감독 부임 이후 재정 위기가 심화되어 HMRC로부터 해산 명령을 받기도 했다. 2012년 에디 패터슨 감독이 부임하여 2013년과 2015년에 아이리시 컵에서 우승했다. 이후 앨런 케르나간, 게리 헤이버론, 로니 맥폴이 감독직을 맡았다.
2. 9. 새로운 투자 및 재도약 (2019-)
2019년 5월 16일, 믹 맥더멋이 글렌토런 FC의 새로운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는 임시 주주총회에서 96%의 주주 승인을 받은 새로운 투자 계약의 일환이었다.[23] 폴 밀러는 코치로 복귀했고, 키어런 하딩도 코치직을 유지했다.
2020년 2월 4일, 클럽 회장 스티븐 헨더슨은 177만 파운드의 적자를 기록했던 이사회가 10년간의 노력 끝에 외부 부채를 완전히 해결했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투자 유치와 기존 이사회의 노력으로 부채의 80%를 탕감하고, 남은 채권자와의 협상을 통해 최종 부채를 해결했다.[27]
맥더모트 감독 체제에서 글렌토런은 2020년 7월 31일 아이리시 컵 결승전에서 밸리미나 유나이티드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폴 오닐과 로비 맥데이드가 득점을 기록했다.[28][29]
2023년 1월 17일, 로드니 맥어리가 맥더모트 감독의 뒤를 이어 글렌토런의 새로운 감독이 되었다. 맥어리는 2022/23 시즌이 끝날 때까지 팀을 이끌며 유럽 대회 진출권을 획득했다. 2023년 6월, 맥어리는 팀을 떠났고, 전 린필드 감독 워렌 피니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그러나 이 결정은 린필드에서의 경력과 감독으로서의 부족한 성과를 이유로 많은 글렌토런 팬들의 반발을 샀다.[30]
2023년 7월, 글렌토런은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경기에서 몰타의 그지라 유나이티드와 맞붙어 기록적인 승부차기를 펼쳤다. 1, 2차전 합계 3-3으로 연장전에 돌입했고, 승부차기에서 그지라 유나이티드가 14-13으로 승리했다. 이는 유럽 대회 역사상 가장 많은 골이 나온 승부차기였다.[31]
워렌 피니는 팬들의 거센 반발 속에서 2024년 3월 15일 상호 합의하에 클럽을 떠났고, 데클란 데빈이 시즌 말까지 임시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3. 경기장
2021년 3월, 글렌토런은 오벌 구장을 800만파운드에서 1000만파운드의 비용으로 재개발하는 계획을 제출했다.[34] 그러나 2022년 스토몬트 붕괴 이후 자금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계획이 중단되었다.[34]
4. 선수
4. 1. 현재 선수 명단
|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 1 | GK | 다니엘 죄이 | |
| 2 | DF | 코디 라이온스-포스터 | |
| 3 | DF | 마커스 케인 (주장) | |
| 4 | DF | 프랭키 히비드 | |
| 5 | DF | 패트릭 맥클린 | |
| 6 | MF | 푸아드 술레 | |
| 7 | MF | 딜런 코놀리 | |
| 8 | MF | 카미 팔머 | |
| 9 | FW | 제이 도넬리 | |
| 10 | FW | 와심 아우아크리아 | |
| 14 | FW | 자이르 파피트-윌리엄스 | |
| 18 | DF | 해리 머피 | |
| 19 | FW | 데이비드 피셔 | |
| 20 | MF | 조쉬 켈리 | |
| 21 | MF | 찰리 린지 | |
| 22 | DF | 대니 아모스 | |
| 23 | DF | 토니 맥엘혼 | |
| 24 | DF | 오웬 오닐 | |
| 25 | GK | 앤드류 밀스 | |
| 27 | MF | 제임스 싱글턴 | |
| 28 | DF | 조나단 러셀 | |
| 29 | MF | 아론 와이트먼 | |
| 30 | FW | 조던 젠킨스 | |
| 42 | DF | 칼란 팔리 | |
| 44 | MF | 제임스 더글러스 | |
| 45 | MF | 주드 존슨 | |
| 46 | DF | 테오 맥토알 | |
| 47 | FW | 케이시 스미스 | |
| 77 | MF | 핀리 손다이크 | |
| DF | 셰인 맥엘레니 | ||
| DF | 키아란 콜 |
4. 2. 역대 선수
5. 유소년 아카데미
글렌토런은 어린 선수들의 축구를 장려하기 위해 글렌토런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북아일랜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축구 아카데미이며, 4세부터 남녀 선수들을 포함한다. 아카데미는 장애인 부문과 폴란드어 부문도 운영하며, 팀에서 뛰기 위해서는 훈련과 영어 수업에 참석해야 한다.[37] 2015-16 시즌, 글렌토런 아카데미는 다른 어떤 클럽보다 두 배나 많은 44명의 선수가 다양한 연령대에서 북아일랜드를 대표하게 되었다.[37] 2016년 여름에는 아카데미 출신 4명의 선수가 잉글랜드 프로 클럽 아카데미에 입단했다.[37] 글렌토런 아카데미는 2008년 6월에 설립되었다.[37]
6. 유럽 대항전 기록
| 대회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유러피언컵 / UEFA 챔피언스 리그 | 28 | 3 | 7 | 18 | 20 | 59 |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UEFA컵 / UEFA 유로파 리그 | 50 | 5 | 9 | 36 | 31 | 122 |
|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4 | 0 | 3 | 1 | 4 | 6 |
|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UEFA 컵 위너스 컵 | 22 | 3 | 7 | 12 | 18 | 46 |
| 합계 | 104 | 11 | 26 | 67 | 73 | 233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0%; text-align: center;"
! 시즌
! 대회
! 라운드
! 상대
! 홈
! 원정
! 합계
|-
| 1962–63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R
| align="left" | 레알 사라고사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6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8'''
|-
| 1963–64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R
| align="left" | 파틱 시슬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4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7'''
|-
| 1964–65
| 유러피언컵
| 1R
| align="left" | 파나티나이코스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2–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4–5'''
|-
| 1965–66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R
| align="left" | 로열 앤트워프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3–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3–4'''
|-
| 1966–67
|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 1R
| align="left" | 레인저스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4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5'''
|-
| 1967–68
| 유러피언컵
| 1R
| align="left" | 벤피카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0–0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1 (a)'''
|-
| 1968–69
| 유러피언컵
| 1R
| align="left" | 앤더레흐트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2–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5'''
|-
| 1969–70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 1R
| align="left" | 아스널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1–0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 1970–71
| 유러피언컵
| 1R
| align="left" | 워터포드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4'''
|-
| 1971–72
| UEFA컵
| 1R
| align="left"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6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7'''
|-
| rowspan=3|1973–74
| rowspan=3|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 1R
| align="left" | 키미아 람니쿠 발체아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2–0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2–2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4–2'''
|-
| 2R
| align="left" | 브란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3–1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4–2'''
|-
| 8강
| align="left"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5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7'''
|-
| 1975–76
| UEFA컵
| 1R
| align="left" | 아약스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6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8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14'''
|-
| 1976–77
| UEFA컵
| 1R
| align="left" | 바젤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3–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3–5'''
|-
| rowspan=2|1977–78
| rowspan=2|유러피언컵
| 1R
| align="left" | 발루르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2–0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2–1'''
|-
| 2R
| align="left" | 유벤투스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5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6'''
|-
| 1978–79
| UEFA컵
| 1R
| align="left" | ÍBV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0–0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1 (a)'''
|-
| rowspan=2|1981–82
| rowspan=2|유러피언컵
| 1R
| align="left" | 프로그레 니데르콘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4–0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5–1'''
|-
| 2R
| align="left" | CSKA 소피아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2–1 (a.e.t.)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3'''
|-
| 1982–83
| UEFA컵
| 1R
| align="left" | 바니크 오스트라바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4'''
|-
| 1983–84
|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 1R
| align="left" | 파리 생제르맹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4'''
|-
| 1984–85
| UEFA컵
| 1R
| align="left" | 스탕다르 리에주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 1985–86
|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 1R
| align="left" | 프람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1–0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3'''
|-
| 1986–87
|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 1R
| align="left" | 로코모티베 라이프치히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 1987–88
|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 1R
| align="left" | RoPS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0–0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1 (a)'''
|-
| 1988–89
| 유러피언컵
| 1R
| align="left"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 1989–90
| UEFA컵
| 1R
| align="left" | 던디 유나이티드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5'''
|-
| 1990–91
|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
| 1R
| align="left"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5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6'''
|-
| 1992–93
| UEFA 챔피언스 리그
| 1R
| align="left" | 마르세유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5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8'''
|-
| 1996–97
| UEFA 컵 위너스컵
| QR
| align="left" | 스파르타 프라하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8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10'''
|-
| 1998–99
| UEFA 컵 위너스컵
| QR
| align="left" | 마카비 하이파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 1999–00
| UEFA 챔피언스 리그
| 1QR
| align="left" | 리텍스 로베치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5'''
|-
| 2000–01
| UEFA컵
| QR
| align="left" | 릴레스트롬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4'''
|-
| 2001–02
| UEFA컵
| QR
| align="left" | 미트윌란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4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5'''
|-
| 2002–03
| UEFA컵
| QR
| align="left" | 비스와 크라쿠프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4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6'''
|-
| 2003–04
| UEFA 챔피언스 리그
| 1QR
| align="left" | HJK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0–0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 rowspan=2|2004–05
| rowspan=2|UEFA컵
| 1QR
| align="left" | 알리안시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2–2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2–1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4–3'''
|-
| 2QR
| align="left" | 엘프스보리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 2005–06
| UEFA 챔피언스 리그
| 1QR
| align="left" | 셸본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4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6'''
|-
| 2006–07
| UEFA컵
| 1QR
| align="left" | 브란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 2007–08
| UEFA컵
| 1QR
| align="left" | AIK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5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4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9'''
|-
| 2008–09
| UEFA컵
| 1QR
| align="left" | 리에파야스 메탈루르그스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 2009–10
| UEFA 챔피언스 리그
| 2QR
| align="left" | 마카비 하이파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4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6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10'''
|-
| 2010–11
| UEFA 유로파 리그
| 1QR
| align="left" | KR 레이캬비크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2–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2–5'''
|-
| rowspan=2|2011–12
| rowspan=2|UEFA 유로파 리그
| 1QR
| align="left" | 레노바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2–1 (a.e.t.)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2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 '''3–3'''
|-
| 2QR
| align="left" | 보르스클라 폴타바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5'''
|-
| 2013–14
| UEFA 유로파 리그
| 1QR
| align="left" | KR 레이캬비크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0–0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 2015–16
| UEFA 유로파 리그
| 1QR
| align="left" | 질리나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4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3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7'''
|-
| rowspan=2| 2020–21
| rowspan=2| UEFA 유로파 리그
| PR
| align="left" | HB 토르스하운
| style="background:#ddffdd;text-align:center;"|'''1–0'''
|
|
|-
| 1QR
| align="left" | 머더웰
|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5'''
|
|-
| rowspan=1| 2021–22
| rowspan=1|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QR
| align="left" | 더 뉴 세인츠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0–2
| style="background:#ffdddd;text-align:center;"|'''1–3'''
|-
| rowspan=1| 2023–24
| rowspan=1|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 1QR
| align="left" | 즈지라 유나이티드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1-1|
| style="background:#ffffdd;text-align:center;"|2–2|
| style="background:#ffdddd;text-
7. 우승 기록
글렌토런 FC는 1893-94 시즌 국내 리그에서 우승하며 첫 타이틀을 획득했고, 이후 국내 리그 23회, 국내 컵 대회 22회 우승을 기록했다.[1]
7. 1. 국내 대회
글렌토런 FC는 여러 국내 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 아이리시 리그/아이리시 프리미어 리그/IFA 프리미어십 | 23회 | 1893-94, 1896-97, 1904-05, 1911-12, 1912-13, 1920-21, 1924-25, 1930-31, 1950-51, 1952-53, 1963-64, 1966-67, 1967-68, 1969-70, 1971-72, 1976-77, 1980-81, 1987-88, 1991-92, 1998-99, 2002-03, 2004-05, 2008-09 |
| 아이리시 컵 | 23회 | 1913-14, 1916-17, 1920-21, 1931-32, 1932-33, 1934-35, 1950-51, 1965-66, 1972-73, 1982-83, 1984-85, 1985-86, 1986-87, 1987-88, 1989-90, 1995-96, 1997-98, 1999-2000, 2000-01, 2003-04, 2012-13, 2014-15, 2019-20 |
| 아이리시 리그 컵 | 7회 | 1988-89, 1990-91, 2000-01, 2002-03, 2004-05, 2006-07, 2009-10 |
| 카운티 안트림 쉴드 | 26회 | 1900-01, 1901-02, 1910-11, 1915-16, 1917-18, 1920-21, 1924-25, 1930-31, 1939-40, 1940-41, 1943-44, 1949-50, 1951-52, 1956-57, 1967-68, 1970-71, 1977-78, 1984-85, 1986-87, 1989-90, 1998-99, 1999-2000, 2001-02, 2002-03, 2007-08, 2010-11 |
| 자선 쉴드 | 2회 | 1992 (공동 우승), 2015 |
7. 2. 기타 대회 (폐지된 대회 포함)
골드 컵 14회, 시티 컵 15회, 얼스터 컵 9회, 벨파스트 자선 컵 8회, 플러드라이트 컵 2회 우승 기록이 있다.7. 3. 전 아일랜드 대회
- 블랙스닛 컵: 1회
- * 1972-73
- 더블린 앤 벨파스트 인터시티 컵: 1회
- * 1943-44
7. 4. 유럽 대회
비엔나 컵에서 1회 우승하였다.8. 라이벌 관계
린필드(1886년 창설)를 최대 라이벌로 하고 있다.[1]
참조
[1]
서적
Sport and the Irish : histories, identities, issues
Dublin : University College Dublin Press
[2]
서적
The bountiful game: football identities and finances
Aachen : Meyer & Meyer Sport
[3]
서적
Football in Northern Ireland : a statistical record 1881-2005
Cleethorpes : Soccer
[4]
웹사이트
Glentoran honours
https://www.glentora[...]
2024-12-03
[5]
뉴스
Glentoran set to commemorate winning first-ever European competition with a gold star on their shirts
https://www.belfastt[...]
2023-08-01
[6]
뉴스
Glens set to get the party started
http://www.belfastte[...]
Independent News & Media
2007-03-13
[7]
뉴스
1967/68 European Champions Clubs' Cup – Glentoran FC
http://www.uefa.com/[...]
UEFA
2012-08-22
[8]
웹사이트
Glentoran Football Club - The Pride of East Belfast - Detroit Cougars
http://www.glentoran[...]
2007-03-13
[9]
뉴스
Glens land Man Utd glamour match
http://news.bbc.co.u[...]
2007-03-13
[10]
뉴스
Glentoran make cup history
1973-11-08
[11]
뉴스
Ten oddest animal camoes
http://observer.guar[...]
Guardian Media Group
2007-03-13
[12]
Youtube
[13]
뉴스
First Half
1998-05-02
[14]
뉴스
Crowd trouble mars Belfast derby
http://news.bbc.co.u[...]
2006-02-15
[15]
뉴스
Millar appointed Glentoran boss
http://news.bbc.co.u[...]
2006-02-15
[16]
뉴스
Sacked by phone
2007-05-19
[17]
뉴스
Walker takes over as Glens boss
http://news.bbc.co.u[...]
2007-05-24
[18]
뉴스
Walker unable to take Glens job
http://news.bbc.co.u[...]
2007-05-26
[19]
뉴스
Big Mac bringing passion to Oval
http://www.belfastte[...]
Independent News & Media
2007-06-19
[20]
뉴스
Glentoran appoint new manager
http://www.glentoran[...]
Glentoran
2016-07-30
[21]
뉴스
Ronnie McFall resigns
https://www.glentora[...]
Glentoran
2019-05-22
[22]
뉴스
Boss Gary Smyth forced out as investors move in
https://www.belfastt[...]
Belfast Telegraph
2019-05-22
[23]
뉴스
Glentoran shareholders endorse investment proposal
https://www.glentora[...]
Glentoran
2019-05-22
[24]
뉴스
Gary Smyth leaves
https://www.glentora[...]
Glentoran
2019-05-22
[25]
뉴스
Paul Leeman leaves
https://www.glentora[...]
Glentoran
2019-05-24
[26]
뉴스
Glentoran Hero Number Two sacked by post as Leeman shares fate of Smyth
https://www.belfastt[...]
2019-05-24
[27]
뉴스
'Thank you doesn't seem enough': Glentoran debt-free thanks to efforts of true club family, says chairman
https://www.belfastt[...]
2020-02-04
[28]
뉴스
Glentoran 2-1 Ballymena United
https://www.glentora[...]
Glentoran
2020-08-01
[29]
뉴스
As it happened: McDaid the hero as Glentoran lift the Irish Cup
https://www.bbc.com/[...]
2020-09-08
[30]
뉴스
Warren Feeney reacts to backlash after becoming Glentorans new manager
https://www.belfastl[...]
2023-07-10
[31]
뉴스
Glens fans heartbroken by European defeat but adamant record-breaking match 'will never be forgotten'
https://www.belfastt[...]
2023-08-01
[32]
간행물
IFA
http://www.irishfa.c[...]
[33]
웹사이트
Glens submit plan for Oval redevelopment
https://www.bbc.com/[...]
2023-04-26
[34]
뉴스
Pour to add to 'seven figure' Glens investment
https://www.bbc.com/[...]
2023-04-26
[35]
웹사이트
Glentoran – UEFA.com
http://www.uefa.com/[...]
2016-12-06
[36]
웹사이트
Member associations – UEFA Coefficients – Club coefficients
https://www.uefa.com[...]
2013-01-13
[37]
뉴스
Glentoran Academy
http://glentoran.com[...]
Glentoran
2016-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